본문 바로가기
행복론

맹자의 행복론 (feat.'인(仁)'과'의(義)'의 중요성)

by 경우있는사람 2023. 6. 23.

맹자는 어떤 사람이었나

맹자는 중국 공자(孔子)의 제자이자 유명한 유학자이며, 도덕 철학가입니다. 그는 도덕적인 지혜와 행동의 중요성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정치 철학과 인간의 이상적인 삶에 대한 가르침을 제시했습니다. 맹자의 가르침은 주로 그의 대화와 글로 기록되었습니다. 그의 사상은 "맹자"라 불리는 법학 서적에 담겨있는데, 이 책은 그의 이름을 땅에서 딴 것입니다. 그의 주요 가르침 중 하나는 "심성"에 대한 개념입니다. 맹자는 인간의 본성이 선한 마음을 지니고 있다고 믿었습니다. 그는 이 선한 마음을 기준으로 모든 사람들이 상호 작용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맹자는 또한 인간을 위한 이상적인 정치 체제에 대해서도 고민했습니다. 그는 국가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인간의 본성을 선으로 이끄는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맹자의 정치 철학은 배움의 추구를 통해 인간을 발전시키고, 도덕적이고 공정한 사회를 형성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맹자는 사회의 변화에 대한 현실적인 접근을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그는 지배자와 백성 사이의 협상과 상호 작용을 강조하며, 인간관계에서 윤리적 기준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도 말했습니다. 맹자의 가르침은 도덕적인 반환과 자유를 통해 인간을 리더로 만들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심오한 이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는 자아를 발전시키고 자아를 인식하는 과정을 강조했습니다. 이를 통해 인간은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이해하고 관리하며, 지혜롭고 도덕적인 선택을 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습니다.

 

맹자의 사상은 현재의 사회와 정치에 많은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그의 가르침은 사회 간의 공정성과 도덕적인 리더십을 강조하며, 개인과 집단 간의 균형과 상호 작용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또한, 심성과 도덕에 중점을 두는 맹자의 철학적 관점은 인간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내면적인 변화를 장려합니다. 맹자의 가르침은 우리에게 윤리적인 삶을 살기 위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그는 자기 심성을 향상하고 도덕적인 행동을 취함으로써 인간이 진정한 행복과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의 철학은 관용과 인간성을 강조하며, 동시에 더 나은 세계를 구축하기 위한 현실적인 변화를 촉구합니다. 맹자의 사상은 양방향 대화와 존중을 바탕으로 한 인간관계와 도덕적 가치를 고민하는 우리에게 여전히 가치 있는 레슨을 제시합니다.

 

맹자는 전국시대 제나라 사람입니다. 당시 중국은 주나라 왕실이 쇠퇴하면서 여러 나라들이 서로 패권을 다투던 혼란스러운 시기였습니다. 이때 많은 사상가들이 등장했는데, 대표적인 인물로는 공자와 노자가 있었습니다. 공자는 인(仁)과 예(禮)를 강조했고, 노자는 무위자연(無爲自然)을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맹자는 인간의 본성은 선하다는 성선설(性善說)을 주장하며 왕도정치를 실현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이러한 맹자의 사상은 후에 유교의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맹자는 인간의 본성 중 최고의 선(善)인 인의예지(仁義禮智)중에서도 특히 "인"과"의"를 강조했습니다. 그래서 인간이라면 누구나 다 측은지심이라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사람들이 자기 자신만을 위해 사는 이기주의자가 아니라 남을 배려하며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 의식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맹자의 사상은 현대 사회에서는 다소 비현실적이고 이상적이지만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습니다.

 

맹자-초상화

 

맹자의 행복론은 무엇인가

그의 행복론은 인간의 내면을 중심으로 한 심성적인 변화와 도덕적인 행동을 통해 진정한 행복을 찾는 것을 강조합니다. 맹자는 인간의 본성이 선한 향심을 갖고 있다고 믿었습니다. 그는 인간이 자신의 본성을 따라가고 이를 실천함으로써 행복을 찾을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인간의 본성적인 선한 향심은 다른 사람들에게 배우며 실천되어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맹자의 철학은 행복을 이루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선한 도덕적인 행동이라고 주장합니다. 맹자의 행복론은 자아를 이해하고 발전시키는 것을 강조합니다. 그는 자아 개선과 도덕적인 행동을 통해 인격을 형성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맹자는 특히 욕망을 통제하고 균형을 잡을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인간은 자기 의지와 통제력을 발휘하여 자기의 욕망과 욕구를 관리해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이를 통해 개인은 내면적인 평화와 행복을 찾을 수 있다고 말합니다. 또한, 맹자는 사회의 변화와 따르는 갈등을 고려하는 현실적인 관점을 제시했습니다. 그는 사회적인 문제와 도덕적인 문제를 결합하여 타협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고 믿었습니다. 맹자는 관용, 협력, 상호이해 등을 통해 사회적인 조화와 공정성을 추구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맹자의 행복론은 현실적인 갈등과 도덕적인 이상에 대한 타협을 강조합니다. 그의 가르침은 인간의 내면적인 변화와 사회적인 변화 간의 상호작용을 강조합니다.

 

맹자는 도덕적인 행동과 상호 작용을 통해 사회와 개인이 발전하고 행복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맹자의 행복론은 우리에게 행복을 추구하는 방법에 대한 가르침을 제공합니다. 그는 자아의 형성과 도덕적인 행동을 통해 인간이 내면적인 변화를 이루고 행복을 찾을 수 있다고 말합니다. 또한, 사회적인 민주주의와 공정성을 위해 현실적인 조화와 타협을 추구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맹자의 가르침은 자아의 성장과 교양, 도덕적인 행동을 강조합니다. 그의 철학은 지혜와 도덕, 상호 이해와 관용을 바탕으로 한 행복과 공정한 사회를 이루는 데 도움이 되는 가치와 원칙을 제시합니다. 맹자의 세계관은 인간의 내면과 사회적인 삶의 변화를 향상하기 위한 인도자격이 있는 철학적인 이론입니다.

 

모든 사람에게는 선한 본성이 있는 것인가?

네 물론입니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그런 것은 아닙니다. 어떤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악한 본성을 가지고 태어나기도 하고, 어떤 사람은 좋은 본성을 가지고 태어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보자면 부모님께 효도하기 싫어하는 아이들을 보신 적은 아마 거의 없을 것입니다. 대부분의 아이들은 본능적으로 효도는 해야 하는 것임을 알고 있고, 그것을 실천하려고 노력하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부모님께 불효하는 아이는 보신 적 있으신가요? 이 역시 거의 없을 겁니다. 그 이유는 아마도 사람은 선천적으로 착한 심성을 가지고 태어났기 때문일 거라 생각합니다. 다시 말해 후천적으로 교육을 받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그렇게 행동하게 되는 것입니다. 반면에 나쁜 짓을 일삼는 사람도 마찬가지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무리 가르쳐도 바뀌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누가 타고난 성품이 좋고 나쁘다고 말할 수 있을까란 의구심이 듭니다.

결국 타고나는 것보다 그 이후에 어떻게 살아가느냐가 훨씬 중요하지 않을까 합니다.

 

그렇다면 인성교육은 대체 언제부터 시작해야 하는 것인가?

인성교육은 당연히 어릴 때부터 시키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어린아이들은 아직 선악의 개념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부모님들이 모범을 보이면 그대로 따라 하게 됩니다. 아이는 부모의 거울이라는 말이 있듯 말입니다. 따라서 어렸을 때부터 바른생활 습관을 길러주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만약 자녀가 있다면 식사 예절 등 일상생활 속에서 지켜야 할 규칙들을 알려주고 이를 지키도록 도와주십시오. 그리고 친구들과 사이좋게 지내야 한다는 것도 항상 일깨워 주십시오. 그러면 나중에 커서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원만히 유지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겁니다.

 

이러한 인성교육으로 착하게 살아야 하는 이유는?

누구나 간과하기 쉽지만 의외로 우리가 착하게 살아야 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나 혼자서만 편하게 살면 세상은 점점 각박해지고 살기 힘들어지기 때문이에요. 또한 나로 인해 누군가에게 원치 않게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내가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산다면 나도 편하고 남도 편하겠지만, 만일 누군가 자신의 행복을 위해 내게 피해를 준다면 나는 불편함을 느낄 수밖에 없습니다. 뿐만 아니라 모든 세상으로부터 받는 스트레스 지수도 당연히 높아지겠죠. 그러니 서로를 배려하고 예의를 지키며 조금씩 양보하면서 타인과 평화롭게 살아가야 합니다. 그래야 나와 그리고 모두가 함께 행복해질 수 있을 것입니다.

 

마치며...

여러분은 지금 얼마나 행복하신가요?

혹시라도 본인이 불행하다고 느끼신다면 우선 주변 환경을 탓하는 것부터 멈춰보십시오. 그리고 본인 스스로 행복해지는 방법을 찾도록 해보십시오. 그러한 마음을 긍정이라 얘기하고 긍정적인 사람은 언제든 행복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